컨트리뷰션은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기여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오픈소스 컨트리뷰션을 진행해야 하는지 알아보겠다.
📌절차
- 레포지토리 fork하기
- 나의 로컬 레포지토리로 clone
- 코드 컨벤션
- 코드 구현 , 수정 (주석 수정)
- 나의 레포 깃허브로 push
- 오픈 소스 레포에 PR
1. 레포지토리 fork 하기
가장 먼저 내가 원하는 프로젝트를 찾아서
나의 레포지토리에 fork하면 된다.
나의 경우 React
오픈 소스를 fork 했다.
2. 나의 로컬 레포지토리로 clone
git clone
명령어를 이용해서 나의 로컬 레포지토리에
clone을 하면 된다.
git remote -v
명령어를 했을 때
해당 url이 잘 뜬다면 정상적으로 clone이 된 것이다.
3. 코드 컨벤션
작업을 하기 전 지켜야 하는 규칙을 먼저 알아야 한다.
보통 이런식으로 README에 남겨두거나
공식 사이트에 들어가면 자세하게 나와 있다.
4. 코드 구현, 수정
5. 나의 레포 깃허브로 push
오타 수정 , 리팩토링 등등 작업을 수행한 후 나의 레포지토리에 push 하면 된다.
6. 오픈 소스 레포에 PR
이제 작업한 내용을 오픈 소스 레포지토리에 PR을 보낸다
만약 PR이 승인이 되고 동인이 동의를 하면
오픈 소스기여자로 추가가 될 수 있다.
🤔 후기
포트폴리오에 오픈 소스에 기여했다고 작성한 사람을 본적이 있다.
많이 못보던 내용이라 관심이 가고 궁금했었는데
이런 절차를 살펴보니 쉽지 않은 과정이고 포트폴리오에 적으면 무기가 될 거 같다 👍👍
나도 틈틈히 살펴보며 리팩토링이라도 진행해 보면서 포트폴리오에 채워나가고 싶다.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FA] 마이크로 프론트엔드 아키텍처 (0) | 2025.06.27 |
---|---|
코드 스니펫 (Code Snipet) (1) | 2025.04.17 |
코드 주석 (0) | 2025.02.28 |
[코드 리팩토링] JS → TS로 수정하기 (0) | 2025.01.31 |
Rest API (0) | 2024.10.30 |